미소 개발자가 말하는 미소에서 일해야 하는 이유 ⓵

2021년 08월 25일
Altumcode via Unsplash

다른 직군에 비해 하드한 ‘기술’을 가지고 있는 개발자들은 이직의 문도 비교적 넓게 열려 있는 편이죠. 그런데도 미소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들이 다른 회사로 도망(?)가지 않고 미소에 남은 이유가 뭘까요?

프론트엔드 개발자인 영목님, 서버와 클라이언트 개발을 주로 하시는 준욱님, 앱 개발을 맡고 계신 형택님, 이렇게 세 명의 개발자분들에게 미소에 입사한 이유와, 미소에서 일하는 게 만족스러운 이유를 여쭤봤습니다. 다양한 배경에서 커리어를 쌓아오셨지만, 회사에 애착을 갖고 계신 이유는 비슷했어요. 현직 미소 개발자가 꼽은 미소에서 일하면 좋은 이유를 아래와 같이 요약할 수 있겠네요.

  • 홈서비스 업계 1등으로 빠르게 성장 중인 스타트업
  • 투명하고 솔직한 커뮤니케이션
  • 개발자로서 기술뿐 아니라 비즈니스에도 깊게 관여 가능
  • Top-Down 방식의 비합리적인 의사결정이 없음
  • 주도적으로 일할 수 있음
  • 전 직원에게 제공되는 보상 실현 가능성이 높은 스톡옵션
  • 선택적 재택근무
  • 자유로운 기술 선택

미소 시니어 개발자들이 미소를 선택한 이유, 수년에 걸쳐 일하고도 미소에 남기로 한 이유가 궁금하시다면, 스크롤을 내려 인터뷰를 읽어보세요. 이번 게시물은 시니어 프로덕트 엔지니어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개발을 주로 하시는 준욱님의 인터뷰입니다.

다른 두 개발자분의 인터뷰는 아래 링크를 클릭해 주세요!

“입사 과정에서 대표한테 이렇게 투명한 설명을 듣는 건 처음이었고, 이렇게 열린 조직이라면 입사해도 괜찮겠다는 생각이 들었죠.”

시니어 프로덕트 엔지니어 준욱님

안녕하세요 준욱님, 자기소개 부탁드릴게요!

안녕하세요, 미소 시니어 프로덕트 엔지니어 김준욱입니다. 저는 게임 회사에서 개발자 커리어를 시작했어요. 넷마블과 위메이드에서 4년 정도 일했습니다. 게임 업계를 나온 이유는 제가 즐기는 게임과 한국 유저들이 평균적으로 좋아하는 게임이 달라서였기 때문이에요. 저는 집에 콘솔도 많고, 주로 기승전결의 스토리가 있는 액션 게임을 좋아해요. 작업하는 입장에서도 완결성이 있달까요. 반면 국내 게임들은 대부분 여러 명이 하는 MMORPG거나, 업데이트 리소스가 많이 들어가는 모바일용이거든요. 개발자는 똑같은 게임을 계속 유지, 보수해야 하고요.

게임 업계를 나와서 이직을 고민하다가 스타트업으로 결정했어요. 대기업은 인턴 때 경험이 좋지 못했고, 무엇보다도 몰입해서 일한 뒤에 빠르게 제 손으로 결과를 만들어 보고 싶었거든요. 그렇게 시드 투자를 받은 초기 스타트업 몇 군데에서 일하다가 미소로 옮긴 지는 2년 정도 됐습니다. 지금 미소에서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개발을 주로 하고 있고, 고객 앱 개발 및 검수도 맡고 있습니다.

 

어떻게 미소에 입사하게 되셨나요? 여러 다른 선택지 중에 미소를 고르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시드 투자만 받은 초창기 스타트업에 다녀보니 조금 더 안정적인 곳을 찾게 되더라고요. 그래서 시리즈 A 이후의 비교적 탄탄한 곳을 찾는 중이었는데 미소에서 연락이 왔어요. 1차 면접에서 미소 시니어 개발자인 경윤님한테 받았던 질문이 인상 깊었어요. 제 이력서를 보시더니 이전 회사에서 기술적으로 문제가 됐을 법한 이슈들을 짚어내시더라고요. 전 직장에서 만들던 서비스를 파악하고 기술적인 문제를 짚어내는 경윤님의 통찰력에 놀랐죠. 최종적으로는 미소와 다른 대형 게임 회사 사이에서 고민을 많이 했어요.

미소에 입사하기로 마음먹게 된 가장 큰 이유는 대표님인 빅터님과의 면접 경험이 좋았기 때문이에요. 보통 개발자 2차 면접이나 합격 이후 대표와의 미팅은 형식적인 경우가 많아요. 회사가 제시할 수 있는 연봉과 조건을 설명하는 정도에서 그치죠. 그런데 빅터님은 제 합류를 설득하면서 미소의 강점, 약점, 기회, 위기를 전부 설명해 줬어요. 홈서비스 시장이 얼마만큼의 규모인데, 미소는 어떤 위치를 차지하고 있고, 회사가 현재 투자금 중 얼마를 소진했고, 회사가 목표를 달성하면 제 스톡옵션이 얼만큼의 가치로 커질 수 있는지 자세한 설명을 들을 수 있었어요. 입사 과정에서 대표한테 이렇게 투명한 설명을 듣는 건 처음이었고, 이렇게 열린 조직이라면 입사해도 괜찮겠다는 생각이 들었죠.

 

“미소에서는 기본적으로 책임과 권한을 많이 가져갈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매력인 거 같아요.”

벌써 미소에서 일하신 지 2년이 넘었잖아요. 준욱님에게 미소가 만족스러운 직장인 이유는 뭘까요?

미소에서는 충분한 책임과 권한을 가지고 비즈니스 성장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경험을 할 수 있거든요. 넷마블이나 위메이드에 있을 때는 아무리 시니어 엔지니어라고 해도 회사가 요청하는 것들만 개발해야 했어요. 개발 방향에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기보다는 여러 주니어 엔지니어의 개발 일정과 내용을 조율하는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그때는 개발팀하고만 일을 했어요.

작은 스타트업에 있을 때는 개발자가 저 외에 한 명 정도밖에 더 없어서 주먹구구식으로 일했어요. 그때그때 필요한 개발을 했죠. 반면 미소에서는 협업할 수 있는 여러 시니어 개발자 동료들이 있으면서, 제가 비즈니스를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운영팀과 긴밀히 논의하면서 개발 방향을 주도적으로 정할 수 있어요. 운영팀의 필요를 이해한 뒤에 개발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다른 부서의 동료들도 관련 통계 자료와 근거를 확실히 따져가며 개발 요청을 해 주시죠.

미소에서는 기본적으로 책임과 권한을 많이 가져갈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매력인 거 같아요. 내가 원하는 기술로 서비스를 원하는 방식으로 개발할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이에요. 주니어분들도 그렇게 하세요. 물론 시니어들 조언이 필요하겠지만요. 내가 만든 코드에 책임을 지고, 이건 내가 처음부터 끝까지 맡아서 만들었다고 이야기 할 수 있는 게 좋죠. 개발자 분들 각자가 자기의 영역에 일정 권한이 있으면서 직무가 겹치는 부분에서는 밀접히 협업하는 조직이거든요.

미소에서는 1년 차 신입 개발자 분들을 리드하면서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끝마친 경험을 해보기도 했어요. 고객 앱의 전체 코드를 리뉴얼하는 작업이었는데, 오래된 코드를 지워나가는 과정을 두 달 안에 끝냈죠. 그때 굉장히 강도 높게 일하면서 멘토링까지 병행했는데, 시니어로서 한 단계 성장한 느낌이었어요.

물론 미소에서 기술적인 성장을 하지 못한 건 아니에요. 미소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물리적인 서버가 없기 때문에 AWS를 주로 사용하면서 안에 Lambda function 등 Microservice architecture를 구성하기 위해 여러 최신 기술을 사용해보고, 다양한 제품을 사용하는 경험이 쌓였죠. 미소의 여러 서비스를 연결하며 제가 주도적으로 회사와 저의 기술적인 부족함을 꾸준히 채워나가야 했거든요.

“저는 기술적인 제품보다는 사람들이 널리 쓰는 서비스를 만드는 일이 좋아요.”

사내 문화도 만족스럽다고 하셨는데, 미소 프로덕트 팀만의 특별한 문화가 있을까요?

개발자분들은 자존심이 세서 강하게 말씀하시는 경우가 많은데, 미소에서는 팀원을 배려하면서도 의견 개진을 효과적으로 하는 문화가 있어요. 내가 잘하는 것과 동료가 잘하는 영역을 명확히 알고, 업무를 제대로 나누는 분위기가 좋아요. 사람들과 잘 맞는 게 어렵잖아요. 미소에서는 다행히 일하는 동료들과 사이가 굉장히 좋아요. 코로나 이전까지만 해도 퇴근하고 맥주 한 잔 하면서 동료들과 다양한 이야기를 나눌 기회가 많았죠.

저만 팀에 만족하는 거 같지는 않은 게, 벌써 2년 동안 같은 4명의 시니어 개발자분들과 합을 맞추고 있어요. 소프트웨어 개발은 워낙 이직이 잦은 직군이라 근속 기간이 6개월만 넘어가도 짧게 일한 건 아니잖아요. 저도 2년 동안 같은 동료 개발자들과 꾸준히 일해 본 건 처음이라 많이 배우고 있어요. 프로덕트 팀원 간의 케미가 좋은 편이라 서로 믿고 의지하면서 나아갈 수 있는 거 같아요. 그렇지 않으면 이렇게 적은 인원으로 이만큼의 개발 업무를 감당하지 못했겠죠. 새로 오실 개발자분들도 적응해 나가는 과정에서 도움을 요청할 시니어가 많다는 거에 안심되실 거 같아요.

미소가 가장 잘 맞을 거 같은 개발자는 어떤 사람일까요? 설명 부탁드려요!

저는 기술적인 제품보다는 사람들이 널리 쓰는 서비스를 만드는 일이 좋아요. 하나의 분야만 깊게 파고 들어가는 것보다는 여러 도구를 이용해 서비스를 설계하는 경험이 즐겁거든요. 반면에 어느 한 분야의 기술에서 최고가 되고 싶은 개발자분들은 미소가 잘 맞지 않을 거 같아요. 미소는 제품의 완성도를 최고로 끌어올려서 동시대 최고 수준의 기술 솔루션을 파는 회사가 아니에요. 특정 분야를 깊게 파는 경험보다 여러 사람과 협업하며 회사에 가장 적합한 솔루션을 기술 관점에서 만들어 나가고 싶으신 분이 합류하셨으면 좋겠어요.

미소만의 특이한 문화가 올바른 것에 집중한다(work hard on the rights things)인데, 사실 맞는 방향을 찾는 건 굉장히 어려워요. 완벽하게 확신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고요. 그래서 미소에서는 상황이 바뀌거나 우리가 오판했다는 게 데이터로 드러나면 빠르게 방향을 바꿔요. 기존의 가설을 빠르게 실험해 보고, 우리가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는 게 데이터로 증명되면 다시 다른 해결책을 고민하는 거죠. 비유하자면 직진 코스에서 속력이 좋은 차보다 코너링이 좋은 차에요. 유연한 개발자가 미소와 잘 맞을 거 같아요.

 

“비유하자면 미소는 직진 코스에서 속력보다 코너링이 좋은 차예요. 유연한 개발자가 미소와 잘 맞을 거 같아요.”

요즘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시는 기술적인 문제는 무엇인가요? 어떻게 해결하고 계신지 알려주세요.

요즘 고민하고 있는 문제의 해결이 쉽지 않은데, 해당 이슈를 설명해 드리면 될 거 같아요. 앞서도 말씀드렸듯이, 최근 미소 서비스를 거대한 모놀리틱 서비스(monolithic service)에서, 흔히 MSA(Microservices Architecture)라고 얘기하곤 하는 작은 기능을 담당하는 각각의 마이크로서비스와 이를 연결하는 AWS SNS(Simple Notification Service), SQS(Simple Queue Service)로 분리하고 있어요.

문제는 최근에 타회사와 연동하여 자그마한 마이크로서비스를 구현해야 하는데, 해당 회사 서비스가 거대한 소켓 서버 두 개로 되어있고, 이 서버랑 항상 연결된 상태를 유지해야 해요. 미소 앱에서는 이 서비스를 REST로 호출해야 하고요. 그래서 이 서버를 어떤 프레임워크로 어떻게 구현할 건지 지금 고민을 많이 하고 있고, 여러 해결책을 생각해보고 있어요. (이게 완성되고 나면 저희 개발 블로그에 게시물로 올려야겠네요.) 확실히 정해진 해결책은 없지만, 몇 가지 아이디어가 떠올라서 다른 백엔드 개발자분들과도 얘기하면서 조율 중이에요. 현재 대강의 방향은 정해진 거 같긴 한데, 저보다 좋은 아이디어나 해결책을 가진 분이 미소에 입사하신다면 언제나 환영입니다.

 

다른 두 개발자분의 인터뷰를 더 읽어보고 싶으시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 보세요!

1 Comment

고객님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 2021. 유한회사 미소. Miso, Inc. All Rights Reserved.